전셋집을 계약하기 전에는 구조와 누수, 냉난방, 보안, 편의시설, 등기부등본까지 꼼꼼히 확인해야 전세 사기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안전한 전세 계약을 위한 전셋집 체크리스트 핵심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.

들어가는 글
전셋집을 단순히 보기만 하지 마세요. 계약 전, 사전에 철저한 체크만으로도 수백만 원의 손실을 막을 수 있습니다. 특히 사회초년생이나 처음 전세를 준비하는 분들에게는 더욱 중요합니다. 이 가이드는 전셋집을 볼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포인트 5가지를 소개하며, 안정적인 계약 체결을 도와드립니다.
체크리스트 요약표
항목 번호 | 체크 항목 | 핵심 포인트 요약 |
---|---|---|
1 | 주택 구조 및 상태 점검 | 건축 유형, 불법 증축 여부, 곰팡이/누수 확인 |
2 | 냉난방·단열·창호 상태 | 외풍·결로 확인, 창문 이중창·방음 성능 점검 |
3 | 전기·수도·가스·가전 작동 확인 | 콘센트, 수압, 온수, 배수, 가스밸브 등 실사용 점검 |
4 | 보안 및 치안 점검 | 도어록, CCTV, 주변 조명·인적 환경 점검 |
5 | 주변 환경·중개인·등기·보험 확인 | 편의시설 위치, 중개사 자격, 등기부등본·전세보증보험 |
항목별 상세 설명
주택 구조 및 상태 점검
- 주택 유형 (아파트, 다세대, 다가구, 단독주택)에 따라 전세보증보험 가입 여부, 법적 보호 범위가 달라집니다. 다가구나 불법 증축 주택은 위험성이 큽니다.
- 곰팡이 및 누수 흔적: 벽지 들뜸, 천장 변색은 누수나 결로의 전조. 장판 모서리, 장롱 뒤편 등도 꼼꼼히 확인합니다.
냉난방·단열·창호 상태
- 결로는 겨울 난방 시 또는 여름 장마철 후 곰팡이 유발 주요 원인입니다. 창문 모서리, 벽 끝부분부터 점검하세요.
- 단열 성능: 창틀과 유리사이 빈틈, 단창인지 이중창인지 확인. 이중창은 단열·방음에서 유리합니다.
- 환기 및 채광: 남향이 일반적으로 세입자 시선에서 유리하며, 창문 개폐 방식, 방충망 상태도 점검 필수입니다.
전기·수도·가스·가전 작동 확인
- 전기: 콘센트 손상 유무, 누전 위험 체크.
- 수도: 수압, 온수 여부, 배수 상태, 악취 유무 확인. 예를 들어 “변기·싱크대·세면대 동시에 물 틀 때 수압 변화 여부”도 유용한 체크 요소입니다.
- 가전과 가스: 옵션으로 포함된 가전이 있다면 실제로 작동하는지 켜보세요. 인덕션, 후드, 오븐, 빌트인 가전의 경우 특히 점검이 중요합니다.
보안 및 치안 점검
- 도어록/CCTV 확인은 중요한 안전 요소. 세입자가 여성인 경우 특히 중요합니다.
- 쓰레기 냄새, 외부 조명, 인적 흐름 등도 치안 및 위생 측면에서 중요하게 챙겨야 합니다.
주변 환경·중개인·등기·보험 점검
- 편의시설: 주변 편의점, 병원, 대중교통 접근성, 주차 가능 여부 등을 체계적으로 확인하세요.
- 중개인 자격 및 등기부등본 확인: 중개사가 정상 등록된 상태인지, 등기부등본 상 집주인과 일치하는지, 압류 여부나 깡통전세 위험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-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: 보험 가입은 세입자 보호를 위한 필수 안전장치입니다. 주택 유형에 따라 가입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.
체크리스트 활용 팁
- 사전 준비: 이동 전 프린트한 체크리스트를 지참하면 현장에서 놓치지 않습니다.
- 사진·동영상 기록: 입주 전 상태를 영상으로 기록해 두면 분쟁 예방에 매우 유리합니다.
- 현장 대화: 공인중개사나 세입자에게 직접 물어보는 것도 현실적인 정보를 얻는 방법입니다.
결론 및 추가 정보
철저한 사전 점검 없이는 전셋집 계약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. 이 체크리스트를 통해 구조·상태·보안·법적 사항·편의성을 모두 고려해보세요. 계약 전 충분히 검토하고 기록하는 습관은 2년 동안의 생활을 편안하게 만들어줍니다. 안전하고 만족스러운 전세 계약 체결을 응원합니다.
관련 링크
내용 요약
전셋집을 보러 다닐 때는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. 먼저 주택 구조와 건축 형태를 파악하고, 곰팡이·누수 흔적, 냉난방 상태, 창문 단열 및 방음 성능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합니다. 또한 CCTV·도어록 등 보안시설 점검, 주변 편의시설 접근성, 공인중개사 자격, 등기부등본,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까지 확인하면 사기 리스크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